한국story
납골당 사업계획서
호호보이
2008. 5. 10. 12:11
목 차 |
Ⅰ. 사업 개요 1. 장묘현황 및 전망 2. 장묘 문화의 변화 3. 국가별 화장 률 비교도 4. 장사 법 개정안 5. 권장기준 1 6. 권장기준 2 7. 사업목적 Ⅱ. 사업 소개 1. 납골당 시설의 종류(안치단, 납골묘, 납골탑, 납골함 , 영상예식실 ) 2. 전국 납골당 현황 3. 전국 납골당 규모 및 이용객수 현황 4. 전국화장장 현황 Ⅲ. 사업 지 분석 1. 사업 부지 위치도 2. 입지분석 : 거시적여건, 미시적여건 3. 사업부지 환경 분석 Ⅳ. 사업 개발 계획 1. 사업추진 일정계획 2. 토지매입 및 건축공사비내역 3 납골당 건축 구조 4. 납골당 건축 개요 5. 투자 유치 방안 Ⅴ. 분양계획 1. 분양촉진방안 2. 분양가산정 및 타사비교 3. 분양 계획 1차, 2차 4. 분양예상수입금 1차, 2차 |
본 문 |
장묘사업의 장점 1. 깨끗하다 화장에 의한 납골당 장묘는 매장문화가 들어오기 전부터 유지해온 장례 풍습이었으며, 옛 제왕이 나 고귀한 성현들의 맑고 깨끗한 장법으로 어린아이들에게조차 거부감을 주지 않는다. 2. 경제적이다 납골당 1기의 소요비용은 6평 묘지 조성비용의 10-15%에 불과하다. 사망자 하루평균 750명, 연간 장례비용 1조 5천억원의 우리나라 상황에서 납골당은 가정경제는 물론 국가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큰 가치를 지닌다. 3. 후손까지 배려하는 화장˙납골 - 보고싶을 때 언제든지 찾을 수 있는 편리함과 아이들도 쉽게 찾을 수 있는 편안한 분위기로 사초와 벌초, 성묘의 부담이 없다. 또한 생전에 준비해 둔 납골당은 장례 절차에 무지한 자손들을 장례 부담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해준다. |
원본 : 납골당사업계획서.ppt |
URL : http://www.happycampus.com/report/view.hcam?no=4546970 |